"임베디드(embedded)"는 '내장된' 또는 '안에 포함된'이라는 뜻을 가집니다.
기술적으로,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은 특정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설계된 컴퓨터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는 일반적인 컴퓨터처럼 범용적이지 않고,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데 최적화된 시스템으로, 여러 전자기기나 기계에 내장되어 작동합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자동차의 제어 시스템, TV, 전자레인지, 로봇 등에 사용됩니다.
이 시스템은 대개 작은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제어를 담당하며,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는 일반적인 컴퓨터와는 달리, 기기의 내부에서 특정 작업만을 수행합니다.
30분마다 기온을 파악, 온도 변화에 따라 내부 LED 색이 변하는 구름으로 보다 직관적이고,
아무 곳에서나 배치가 가능할 정도로 가볍습니다.
개발 기간 및 과정 |
2021.04 ~ 2021.05 1. 계획 수립 2. 필요 부품 구입 3. WIFI 기능 구현 및 정상 동작 확인 4. API 기능 구현 및 정상 동작 확인 5. 기온에 따른 LED 색 변화 소스코드 개발 6. 포트폴리오 제작 |
---|---|
개발 인원 | 박성수: 전체 프로젝트 기획 및 개발 |
기술 스택 및 개발 환경 |
기술 스택: C, Embedded, API 소프트웨어: Arduino |
깃허브 주소 | https://github.com/parkss1324/Embedded_Project |
1) WIFI ID와 PASSWORD를 받아옵니다.
2) 사용자의 API 키와 한국 지역, 대구 지역의 고유 값들을 받아옵니다.
3) LED의 RED, GREEN, BLUE의 값들을 각각 하나씩 ON되게 배열로 구성합니다.
4) 15도 미만의 온도에서는 BLUE, 15도 이상 25도 이하의 온도에서 GREEN, 25도를 초과한 온도에서는 RED를 출력하는 조건문을 만듭니다.
5) 딜레이를 써서 30분마다 기록이 갱신되게 만듭니다.
1) https://home.openweathermap.org/ 접속
2) 회원가입
3) 본인의 아이디 카테고리에서 My API Keys 클릭
4) Create Key에 본인이 원하는 key 이름을 넣고 Generate 클릭
5) 왼쪽 항목에 뜨는 Key는 자신의 고유 API key, 사용을 위해 복사
6) 날씨 측정을 원하는 장소를 검색하고 고유번호 획득
7) 인터넷 검색 화면에 api.openweathermap.org/data/2.5/forecast?id=[고유번호]&APPID=[발급받은 API Key]입력
8) 테스트 및 결과
개발자로서의 첫걸음 |
배우기만 한 것과 활용하는 것의 차이가 크고, 응용을 할수록 실력이 향상되는 것을 많이 겪었습니다. 계획을 수립하는 초기 단계부터 PPT를 완성하는 최종 단계까지 저의 역량을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
---|---|
새로운 개념의 적용 |
포트폴리오를 만들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던 중 ‘API’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교육 과정에서 배우지 않은 개념이라 낯설었지만, 아두이노에 적용이 가능하고 익혀두면 개발 역량이 향상될 것 같아 공부하였고 곧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개발 기간이 단축되는 것을 확인하면서 많이 알수록 실력 있는 개발자가 된다는 것을 처음 깨닫게 되는 순간이었습니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항상 배우면서 성장하는 개발자가 되려고 합니다. |
시행 착오를 겪으면서 성장 |
계획 수립부터 PPT 제작까지 모든 과정을 혼자서 진행하였고, 무언가를 개발하는 것도 처음이어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습니다. 출력해야 동작하는 LED를 입력으로 소스코드 구성을 하고, 핀 번호 앞에 ‘D’를 붙여야 동작하는 것을 Datasheet를 보고 뒤늦게 알고, WIFI 기능이 잘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초기 단계가 아닌 최종 단계에서 하는 등 문제가 생길 때마다 많은 시간을 소비하였습니다. 하지만 모두 해결을 하고 결과물을 만들어냈을 때 미약하지만 개발자로서 첫 걸음을 한 것 같아 좋은 경험이 되었습니다. |